diff --git a/blog/rocket/dd.png b/blog/rocket/dd.png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56e877b
Binary files /dev/null and b/blog/rocket/dd.png differ
diff --git a/blog/rocket/feconf.jpeg b/blog/rocket/feconf.jpeg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74d956
Binary files /dev/null and b/blog/rocket/feconf.jpeg differ
diff --git a/blog/rocket/index.mdx b/blog/rocket/index.mdx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35427fa
--- /dev/null
+++ b/blog/rocket/index.mdx
@@ -0,0 +1,105 @@
+---
+title: "[feconf 2024] 바퀴 대신 로켓 만들기 요약"
+date: "2024-09-16"
+slug: "rocket-than-wheel"
+tags: ["feconf2024", "react"]
+hero_image: "./feconf.jpeg"
+hero_image_alt: "feconf"
+hero_image_credit_link: ""
+hero_image_credit_text: ""
+---
+
+[FEConf 2024 [B1] 바퀴 대신 로켓 만들기](https://www.youtube.com/watch?v=B7hhxG1qUf8&t=937s)를 보고
+제 임의대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
+사견은 추가로 초록색으로 표기하였습니다.
+
+
이슈 내용
+30년 간 지속해온 업이 남긴 유산. 앞으로 나아가야하는 비즈니스에 레거시(jsp, euc-kr)가
+발목을 잡는 상황. 400개 넘는 화면들이 레거시
+
+-> 팀에서 관리 가능한 형태로 이관 필요
+
+6개월 내에 400개..화면.. 4명 fe / 짧은 시간에 지속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데에 대한 부담.
+
+바로 개발에 착수하기 어려운 상황!
+
+
+ 1)디자인에 대한 프로토타입 / 2)요구사항 분석 / 3) 서버에 대한 준비 등이 필요
+
+
+개발 도중에 협업 및 커뮤니케이션 시간이 들어가게 됨. + 기능 개발 자체 + 유지보수 비용
+
+프론트엔드 개발의 병목
+
+1. 디자인 프로토타입이 꼭 필요한가?
+
+디자인 비효율을 줄일도구인 토스 디자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음
+토스의 모든 계열사들이 사용하고 있고, 계열사의 요구사항을 모두 맞춤
+개별 회사의 니즈를 맞추기 어려움.
+
+디지인 시스템의 장점(아토믹 / 유연성 / 재사용성)이 있지만
+
+작성하는사람마다 다른 구현체 (프로덕트 시스템에서는 단일 구현체를 제공하도록 함.)/
+를 가져가는 것이 문제적이라고 간주.
+
+아토믹한 구조를 추구하기보단 구체적인 맥락이 들어가더라도 반복 사용하기 좋은 형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할 가능성 방지.
+명확한 역할의 컴포넌트를 정의하여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을 할 수 있는
+
+——> 프로덕트 시스템 제안
+페이먼츠에 최적화된 단일 구현체를 만들기 시작
+
+아토믹한 범위에서 벗어나서 가장 큰 영역 (스크린)까지 다양한 variation을 커버.
+
+ 2. 서버 api가 꼭 필요한가?
+
+프론트엔트는 api 구현보다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
+Swagger / rest docs
+스펙을 한땀한땀 이관 후 데이터 페칭할 때 문제가 생기면 서버 개발자에게 요청.
+-> 이런 과정의 반복
+
+Openapi code generator -> TossPayments의 codegen
+Open api json schema를 원하는 방식으로 다듬기 / typescript와 zod 기반
+
+- Swagger docs url로부터 open api spec 객체 생성
+- spec.components -> request body/ response에 대한 zod 스키마
+- Spec.paths로부터 api endpoint를 비롯한 각종 스펙을 원하는 객체형태로 가공
+- Ts 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생성
+
+개인적으로 다 중요하지만 ‘원하는 위치에 생성’도 꽤나 중요하다고 생각.
+한 곳에 몰아서 다 만들어져서 diff도 잡히기 어려운 너무 거대한 파일이 된 케이스도 보았기 때문이다.
+
+장점: 스펙 싱크를 신경쓰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타입과 스키마
+
+ 3. 외적인 요소(요구사항 분석)와 상관없이 fe개발 자체의 비효율은?
+
+개발 생태계가 너무 풍부하기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에
+개발자마다 나오는 형태가 다다름
+
+-> 새로운 바퀴를 만드는 일보다 일관성 있고 지속 가능한 코드를 만드는 일이 필요.
+
+그렇다면 어떻게 공통화할 수 있을까?
+
+발표자분께서는 Refine(https://refine.dev/)에서 영감 받았다고 하셨다.
+한 번 들어가서 살펴봤는데, 망치로 뿅맞은 기분이었다.
+
+![refine](./refine.png)
+
+4가지(Data fetching , Form Control, Table, Logging)에 대한 각각의 공통화할 수 있는 부분이 나왔는데, Data Fetching만 보면 아래와 같은 식이다.
+
+![datafetching](./dd.png)
+
+
+ 공통화된 메서드의 파라미터을에 대한 커스텀을 어디까지 할 것인가의 문제도
+ 분명히 있겠지만, 합의된 파라미터만 잘 정의한다면 무척이나 좋을 듯했다.
+ 비슷비슷한 기능을 전 파트에 걸쳐서 반복 작업하는 것 같은 느낌을 구체적으로
+ 확인해볼 수 있기도 했다. 하지만 일을 하다보면 각각의 파트 혹은 팀에서
+ 구현해야하는 기능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데, 공통 컴포넌트의 관리의 주체가
+ 애매해지는 상황이 발생한 적이 있었다. 디자인 시스템으로 관리되는 디자인
+ 컴포넌트는 통일성 있고 일관되게 갈 수 있는데, 실제로 데이터를 페칭하고 기능을
+ 수행하는 컴포넌트의 내부 구현은 다 다르게 되어, 파트마다 구현 방식이 달라 이런
+ 방식이 필요하다고는 생각되지만, 실제로 일할 때 나서서 맞추자!!하기가 어려울 것
+ 같은 것도 사실이다. 새로 만든 프로젝트라면 이렇게 가면 참 좋겠다.
+
diff --git a/blog/rocket/refine.png b/blog/rocket/refine.png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5338567
Binary files /dev/null and b/blog/rocket/refine.png dif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