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03 lines (153 loc) · 11.2 KB

3. 네트워크의 기기.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03 lines (153 loc) · 11.2 KB

네트워크의 기기

목차

개요

해당 문서는 네트워크에서 각 계층을 담당하는 기기에 대해 다룹니다. 해당 기기가 어떤 역할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용어

  • 스위치 : 여러 장비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네트워크 장비이다.
  • 로드밸런서 : 네트워크나 서버의 트래픽을 균형 있게 분산시켜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통칭한다.
  • MAC 주소 : 주민등록번호처럼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식별번호이다.
    • "Media Access Control"의 약자로,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할당된 고유한 하드웨어 주소이다.
  • 라우팅 :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패킷 소모를 최소화하고 경로를 최적화하여 최소 경로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작업이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 범위

  • 의미: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처리 범위를 나눌 수 있음
    •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불가하다.
  • 각 계층을 담당하는 기기
    • 애플리케이션 계층: L7 스위치
    • 인터넷 계층: 라우터, L3 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 L2 스위치, 브리지
    • 물리 계층: NIC, 리피터, AP

애플리케이션 계층 처리 기기

L7 스위치

image
  • 의미: 로드밸런서라고도 하며,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을 관리하고 제어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이다.
  • 로드 밸런서의 대표적인 기능: 서버 이중화
    • 의미: 로드 밸런서는 2대 이상의 서버를 기반으로 가상 IP를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특징
    1. L4와 달리, IP와 포트 외에도 URL, 서버, 캐시, 쿠키들을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
    2. 바이러스, 불필요한 외부 데이터 등을 걸러내는 필터링 기능
    3.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모니터링 가능
    4. 정기적으로 헬스 체크를 이용하여 장애 발생 서버 발견
  • 헬스 체크
    • 의미: 전송 주기와 재전송 횟수 등을 설정한 이후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 L4 스위치 또는 L7 스위치는 모두 이를 통해 정상, 비정상 서버를 판별한다.
    • TCP, HTTP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요청을 보내며 해당 요청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정상 서버로 판별한다.
  • L7 스위치와 L4 스위치의 차이점
    • L4 스위치: 전송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로 IP와 포트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한다.

      L7 스위치 L4 스위치
      사용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전송 계층
      트래픽 분산 기준 IP, 포트, URL, HTTP 헤더, 쿠키 등 IP, 포트
      클라우드 서비스 로드 밸런싱 ALB(Application Load Balancer) NLB(Network Load Balancer)

인터넷 계층 처리 기기

라우터

image
  • 의미: 네트워크에서 패킷(Packet)을 전달하거나 라우팅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 역할: 여러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고, 목적지까지 최적의 경로로 패킷을 전달한다.

L3 스위치

image
  • 의미: 라우터L2 스위치 기능을 결합한 형태로 작동하는 장치이다.

    • ‘L3 스위치 == 라우터’라고 봐도 무방하다.
  • 라우터 분류

    • 소프트웨어 기반의 라우팅
    • 하드웨어 기반의 라우팅: L3 스위치는 이에 해당함
  • L2 스위치와의 차이점

    L2 스위치 L3 스위치
    참조 테이블 MAC 주소 테이블 라우팅 테이블
    참조 PDU 이더넷 프레임 IP 패킷
    참조 주소 MAC 주소 IP 주소

데이터 링크 계층 처리 기기

L2 스위치

image
  • 의미: 장치들의 MAC 주소를 관리하며, 연결된 장치로부터 패킷 전송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 특징
    • IP 주소를 이해하지 못해 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 불가능
    • 단순히 패킷의 MAC 주소를 읽어 스위칭하는 역할
    • MAC 주소 테이블을 통해 장치들의 MAC 주소 관리함
    • 목적지가 MAC 주소 테이블에 없다면 전체 포트에 전달
    • MAC 주소 테이블의 주소는 일정 시간 이후 삭제하는 기능

브리지

image
  • 의미: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 특징
    • 포트와 포트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한다.
    • 장치에서 받아온 MAC 주소를 MAC 주소 테이블로 관리한다.
    • 통신망 범위를 확장하고 서로 다른 LAN 등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신망 구축할 때 쓰인다.

물리 계층 처리 기기

NIC (Network Interface Card)

image
  • 의미: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이다.
  • 특징
    • LAN 카드라고도 한다.
    • 2대 이상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사용한다.
    • 각 LAN 카드에는 고유의 식별번호인 MAC 주소 있다.

리피터

image
  • 의미: 약해진 신호 정도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 특징
    • 패킷을 더 멀리 보낼 수 있다.
    • 하지만 광케이블이 보급됨에 따라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AP (Access Point)

image
  • 의미: 와이파이를 이용한 관련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스위치에 대한 추가 학습

image

스위치의 역할

  • 의미: 하나의 네트워크 라인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데 필요한 장치이다.
  • 패킷 충돌 방지: 전송 중 패킷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패킷의 목적지로 연결된 포트로 직접 전송한다.
  • 장애 발생 대처: 정보 전달의 수단과 회선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입출력 사태를 감시하며, 전송로의 장애 발생 시 현재 상태에서 예비 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치의 장점

  • 1:1 연결: 패킷을 보내는 노드와 받는 노드를 1:1로 연결해 주기 때문에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 동시성: 두 개의 노드가 통신을 하는 동안 다른 노드들도 서로 간의 통신이 동시에 가능하며, 이더넷에서 높은 효율을 보인다.
  • 성능: 노드의 수가 증가해도 속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
  • 보안: 패킷의 감청이 어려운 구조이므로 보안성이 높다.
  • 부가 기능: 기본적으로 Processor, RAM, OS를 탑재하므로 많은 부가 기능을 보유한다.

스위치의 구분

  • 구분 기준: 어떤 주소를 통해 스위칭 하는지에 따라 L2, L3, L4 스위치로 구분한다.
  • 구분 범위: L2는 MAC주소, L3은 프로토콜(IP) 주소, L4는 세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스위칭한다.

스위치와 허브의 차이

image
  • 허브
    • 모든 노드가 일정 속도를 나눠서 사용한다.
  • 스위치
    • 각각의 노드가 네트워크를 동시에 사용한다.
    • 따라서 스위치는 각 Port 별로 bandwidth(대역폭)을 제공한다.

참고 자료